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관 도시법

by 베풀고 나누는 풍요로운 삶 2023. 10. 18.
반응형

배관제도의 종류

  1. 평면배관도 : 위에서 아래로 보고 그린 그림이다.
  2. 입면배관도 : 배관장치를 측면에서 보고 그린 그림이다. (3각법에 의한다)
  3. 입체배관도 : 입체 형상을 수평면에서 120도로 선을 그어 그린 그림이다.
  4. 부분조립도 : 조립도에 포함되어 있는 배관이 일부분을 작도한 그림이다.

 

치수 표시는 [mm]를 단위로 표시하되 치수선에는 숫자만 기입한다.

 

높이 표시 (중요도★ ★ ★)

  1. EL : 배관이 높이를 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표시한 것
  2. BOP : 지름이 서로 다른 관의 높이 표시방법으로 관 바깥지름의 아랫면까지의 높이를 기준으로 표시한 것
  3. TOP : 지름이 서로 다른 관의 높이 표시방법으로 관 바깥지름의 윗면을 기준으로 표시한 것
  4. GL : 포장된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배관장치의 높이를 표시할 때 적용된다
  5. FL : 각층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를 표시한 것

관의 도시법은 하나의 실선으로 표시하며 같은 도면에서 다른 관을 표시할 경우 같은 굵기의 선으로 표시한다.

 

유체의 표시

유체의 종류 기호  
공기 A(흰색)
가스 G(황색)
유류 O(현장배관에따라적색계열색)
수증기 S(적색)
W(청색)

 

 

신축이음 및 밸브류 표시

1) 루우프형(곡관형)

  • 고온, 고압의 옥외 배관용이다
  • 구부림의 반지름은 관지름의 6배 이상이 좋다
  •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한다
  • 응력 발생이 생긴다

 

2) 벨로우즈형(주름통형,  팩레스(Packless) 형, 파형)

  • 설치장소가 적어도 된다
  • 자체 응력 및 누설이 적어 냉난방 배관에 사용한다
  • 신축에 의한 피로현상 때문에 스테인레스제, 청동제를 사용한다

 

3) 슬리이브형(미끄럼형)

  • 응력 발생이 적다
  • 직관의 선 팽창만 흡수한다
  • 저압증기관에 사용(과열증기 배관에 사용 부적합)

 

4) 스위블형

2~3개의 엘보를 사용하여 이음부 나사 회전에 의한 신축조절이 된다. (방열기 인입관이나 저압 온수관에 사용)

  • 굴곡부에서 압력 강하가 크며, 신축량 큰 배관에는 부적당하다.
  • 설치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 신축 흡수 큰순서 : 루프형 > 슬리이브형 > 벨로우즈형 > 스위블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