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관 재질별 분류

by 베풀고 나누는 풍요로운 삶 2023. 10. 4.
반응형

(1) 철금속관 : 강관, 주철관

(2) 비철금속관 : 동관, 연관(Pb), 알루미늄관, 스테인리스관

(3) 비금속관 : 석면시멘트관(에터니트관),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흄관), P.V.C관, 도관 등

 

강관의 특징

  1. 관의 접합작업이 용이하다
  2. 주철관에 비해 내압성이 양호하다
  3. 연관, 주철관에 비해 가볍고 인장강도가 크다
  4. 내충격성, 굴요성이 크다
  5. 연관, 주철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스케줄 번호 (Schedule No) : 관의 두께를 표시하는 번호

 

스케줄 번호 (SCH) = 10 X 사용압력[kg/㎠] / 허용 응력[kg/㎟]

허용응력 = 인장강도 / 안전율  (*안전율은 보통 4로 준다.) 

 

주철관 특징

철과 탄소의 합금계에서 탄소함유량이 2% 이하인 것을 강(Steel), 2% 이상인 것을 주철(cast iron)이라 한다.

  1. 내구력 및 내식성이 좋다
  2. 급수, 배수, 통기 및 오수, 가스공급, 화학공업 등 사용처가 다양하다
  3. 일반관에 비해 강도가 크다
  4. 특히 매설시 부식이 적어 매설배관에 좋다.

 

동관(CUP)의 특징

동관은 압력에 따라 K(가장 두껍다, 의료용 배관), L(급배수관, 냉난방용), M(급배수관) 3종으로 구분한다.

 

  1. 전기 및 열전도성이 좋아 열교환기용으로 우수하게 사용된다.
  2. 전연성이 풍부하고 가공이 용이하다.
  3. 연수에 부식되는 성질이 있어 증류수 및 증기관에는 적합하지 않다.
  4.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나, 외부충격에 약하다.
  5. 내식성이 좋아 수명이 길다.
  6. 마찰저항이 적고, 가격이 비싸다.
  7. 알칼리에는 강하나 산에는 약하다.

 

동관의 분류

 1) 타프피치 동 (Tcup) : 전기동을 정제한 것

 2) 인탈산 동(Dcup) : 전기동 중의 산소를 인을 써서 제거한 것

 3) 무산소동 : 산소도 최대한 제거되고 잔류되는 탈산소제도 없는 동

 4) 황동관 : 동과 아연의 합금, 열교환기, 각종 기기의 부품으로 사용

 5) 단동관 : 아연을 10~15% 포함한 황동관

 

 

연관(Pb)의 특징

  1. 전연성이 풍부하여 상온가공이 용이하다.
  2. 내식성이 일반관에 비해 크다.
  3. 용도에 따라 1종(화학공업용), 2종(일반용), 3종(가스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4. 중량이 무거워 수평배관에는 늘어지기 쉽다.
  5. 해수나 천연수도 안전하게 사용된다.
  6. 콘크리트 매설시 생석회에 침식되므로 방식처리가 필요하다.

 

알루미늄관

동 다음으로 전기 및 열전도성이 양호하며, 전연성이 풍부하여 가공이 용이하며 열교환기, 선박, 차량, 건축재료 및 화학공업용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알칼리에는 약하고 특히 해수, 염산, 황산, 가성소다 등에 약하다.

 

 

스테인리스 강관의 특징 (★중요도 5)

  1. 내식성이 우수하여, 내경의 축소, 저항 증대현상이 적다.
  2.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가벼워 운반 및 가공이 용이하다.
  3. 저온 충격성이 좋다.
  4. 한랭지 배관이 가능하며 동결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5. 연결법은 나사식, 용접식, 몰코식, 플랜지 이음법 등이 있다.

 

석면 시멘트관(에테니트관)

석민과 시멘트를 1:5로 혼합하여 롤러로 압력을 가해 성형시킨 관이다.

 

 

원심력 철근 콘트리트관(흄관)

철망을 원통형으로 엮어 형틀에 넣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 균일한 두께의 관으로 성형시킨 관으로 상하수도, 배수관으로 사용되며 보통압관, 저압관의 2종류와 형상에 따라 A, B, C형의 3종류가 있다.

 

경질염화비닐관(PVC관)

아세틸렌에 염화수소를 첨가하여 압출성형기로 제조한 관

 

[장점]

  1. 내식성이 크고 산, 알칼리, 염류 등의 부식에도 강하다.
  2. 가볍고 운반 및 취급이 편리하며 기계적 강도는 높다.
  3. 전기절연 및 열의 부도체(철의 1/350)이다.
  4. 가격이 싸고 가공 및 접합작업이 용이하다.

[단점]

  1. 열가소성수지이므로 180도 정도에서 연화된다.
  2. 열팽창이 커서 (철의 7~8배) 신축이 심하다.
  3. 저온에 특히 약하다. (저온 취성)
  4. 용제 밈 아세톤 등에 침식된다.

폴리부틸렌관(polybuthylene)

PB파이프라고도 하며, 주로 95도 이하의 물을 수송하는 관으로 에이콘 파이프라고 하기도 한다.

 

가교화 폴리에틸렌관(crosslinkes polyethylene)

일명 엑셀파이프라고 하며, 온수 온돌 난방코일용으로 가장 만이 사용하고, 수도용 및 온수난방용으로 95도이하의 물에 사용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