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전관리 개요
◑안전관리 목적
①인명의 존중 ②사회복지의 증진 ③생산성의 향상 ④경제성의 향상 ⑤안전사고 발생방지
◑ 사고의 원인
(1) 직접원인
1) 불안전한 행동 (인적 원인) : 안전조치 불이행, 불안전한 상태의 방치 등
2) 불안전한 상태 (물적 원인) : 작업환경의 결함, 보호구 복장 등의 결함 등
(2) 간접원인
1) 기술적 원인 : 기계, 기구, 장비 등의 방호설비, 경계설비 등의 기술적 결함
2) 교육적 원인 : 무지, 경시, 몰이해, 훈련미숙, 나쁜 습관 등
3) 신체적 원인 : 각종 질병, 피로, 수면부족 등
4) 정신적 원인 : 태만, 반항, 불만, 초조, 긴장, 공포 등
5) 관리적 원인 : 책임감부족, 작업기준의 불명학, 근로의욕침체 등
◑ 안전관리 일반
온도 : 안전활동에 가장 적당한 온도 18~21도
습도 : 가장 바람직한 상대습도 30~35%
불쾌지수 : 불쾌지수의 위험한계 75 이상
유해가스 : CO₂ , CO
안전색 표시사항 : 적색(정지, 금지) 황적색(위험), 황색(주의), 녹색 (안전안내, 진행유도, 구급구호), 청색(조심, 지시), 백색(통로, 정리정돈), 적자색(방사능)
◑ 화재의 등급별 소화 방법
분류 | A급 화재 | B급 화재 | C급 화재 | D급 화재 |
명칭 | 보통 화재 | 유류,가스 화재 | 전기 화재 | 금속 화재 |
적응 소화제 | 물 소화기 강화액 소화기 |
포말 소화기 CO₂소화기 분말 소화기 증발성 액체소화기 |
유기성 소화액 CO₂소화기 분말 |
건조사(마른 모래) 평창 질식 팽창 진주암 |
고압가스 용기의 도색 : 산소(녹색), 수소(주황색) 액화탄산가스(청색) 아세틸렌(황색) 액화염소(갈색) 액화 암모니아(백색), 기타의 가스 (회색)
* 화재의 3대 요소: 가연물, 산소, 점화원
◑ 내부 부식
보일러 내부, 즉 수면과 맞닿는 부분에서의 부식을 말하며, 그 원인은 용존산소, 가스분, 탄산가스, 유지분 등이다.
①점식(Pitting) ②국부 부식 ③전면식 ④구식(그루빙) ⑤알칼리 부식(가성취화 부식)
*알칼리 부식 : 관수 중 알칼리 (수산화나트륨)의 농도가 높아 수산화 제1 철이 용해되어 강은 알칼리에 의해 부식된다.
* 탈기법 : 용존가스 및 탄산가스 제거
*기폭법 : 탄산가스체나 철, 망간 등을 제거
※구식(구루빙:grooving) : 열팽창에 의한 신축으로 팽창, 수축의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도량 형태의(V, U자) 홈을 만들며 나타나는 부식
◑외부 부식
①저온 부식 : 황(S)의 영향으로 부식 ②고온 부식 : 바나듐(V) 성분이 영향
◑ 점식의 방지방법
①용존산소제거(탈기법) ②방청도장(보호피막) ③약한 전류의 통전 ④아연판 매달기
◑구식의 발생 장소
① 노통 보일러의 경판과 접합부 및 만곡부
② 관, 판, 나사 스테이 만곡부
③ 연돌판, 화실하단, 노통의 플랜지 만곡부
◑발생방지방법
① 반복적인 열응력을 적게 한다.
② 플랜지 만곡부의 반지름을 가능한 크게 한다.
③ 노통호흡장소(breathing space)를 설치한다.
◑ 내부 부식 방지 방법
① 예열된 급수를 사용하여 열응력을 적게 한다
② 급수처리를 철저히 한다 (탈기, 관수연화)
③ 아연판 메달기
④ 약한 전류도 통전한다
◑ 방지 대책 (★시험 잘 나옴)
① 회분 개질제를 첨가하여 회분의 융점을 높인다.
② 양질의 연료를 사용하며 연료 속의 V, Na, S를 제거 후 사용한다.
③ 고온가스가 접촉되는 부분에 보호피막을 한다.
④ 연소가스 온도를 융점온도 이하로 유지한다.
◑ 라미네이션 (Lamination) : 보일러 강판이나 관의 두께 속에 두 장의 층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
◑ 블리스터 (Blister) : 라미네이션 상태에서 화염과 접촉하여 높은 열을 받아 부풀어 오르거나 표면이 타서 갈라지게 되는 상태
◑ 팽출(膨出) : 보일러 본체의 화염에 접하는 부분이 과열된 결과 내부의 압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현상
팽출이 일어나는 부분 : 횡연관, 보일러 동저부, 수관
◑ 압궤(壓潰) :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짓눌린 현상
압궤가 일어나는 부분 : 노통, 연소실, 관판
* 산소 용접 : LPG와 산소 혹은 아세틸렌과 산소를 함께 매개체로 사용하여 용접하는 것
* 전기 용접 : 아크 용접이라고도 하며, 전기 저항열을 가지고 하는 용접이다. 용접 시에는 강한 빛이 나기 때문에 보호안경을 꼭 착용하고 용접해야 한다. 요즘에는 자동면 보호구가 있어 안경이 평상시에는 녹색으로 보이고 용접할 때는 잘 보이는 보호구가 생겼다.
*용단 : 철 같은 물체를 자르는 것을 말함
◑크랙이 발생되기 쉬운 부분
- 스테이 자체나 부근의 관
- 연소구 주변의 리벳
- 용접 이음부와 열 영향부
◑보일러 사고의 원인별 구분
1) 제작상의 원인 : 재료 불량, 구조 및 설계 불량, 강도 불량, 용접 불량 등
2) 취급상의 원인 : 압력초과, 저수위, 과열, 역화, 부식 등
* 역화 (미연소가스의 폭발)
작업 전 프리퍼지, 작업 후 포스트퍼지로 노내와 연도에 체류하고 있는 가연성가스를 취출시키는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