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일러 가동 전의 준비사항
◑ 소다 보링 : 설치제작시 부착된 페인트, 유지, 녹 등을 제거하기 위해 동내부에 소다 계통의 약액을 주입하고 가압하여(0.3~0.5 [kg/cm2]) 2~3일간 끊여 반복 분출한다.
◑ 사용 약액
탄산소다(Na₂CO₃), 가성소다(NaOH), 제3인산소다(Na₃PO₄12H₂O)
◑ 보일러의 수위 확인
보일러의 수위는 수면계의 1/2 정도에 오도록 표준수위를 설정하고 그 이상의 고수위나 저수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조정한다.
◑ 프리퍼지
소화 후 급속냉각을 막기 위해 배기 댐퍼를 닫은 상태으므로 점화 전에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가스(미연소가스)를 배출해야 하는데 이를 프리퍼지라고 한다.
점화전 댐퍼를 열고 노내와 연도에 체류하고 있는 가연성가스를 송풍기로 취출 시키는 것 (소형 : 30~40초, 대형 3분 이상)
◑ 포스트퍼지
점화 후 갑작스런 실화로 인해 노내의 미연소가스가 체류할 수 있으므로 이때의 배출을 말한다.
보일러 운전이 끝난 후 정상점화 후 갑작스런 실화로 인해 노내와 연도에 체류하고 있는 가연성가스를 취출시키는 것 (소형 : 30~40초, 대형 3분 이상)
2. 점화 및 운전 중의 취급
◑ 조작시 순서
① 노내환기(프리퍼지) ②버너동작 ③노내압조정 ④파일럿 버너 ⑤화염검출 ⑥점화 ⑦댐퍼작동 ⑧저연소 →고연소
◑ 점화불량 원인
①점화 버니의 가스압 이상 ② 공기비의 조정불량 ③점화용 트랜스의 전기 스파크 불량 ④보염기(불을 보호하는 불)의 위치 불량 ⑤ 공기압력부족이나 과잉 ⑥ 주전원 전압의 이상
◑ 점화시 주의 사항
- 점화는 1회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력이 큰 불씨를 사용한다.
- 특히 노내환기에 주의하여야 하고 실화 시에도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진 뒤 점화한다.
- 연료배관계통의 누설 유무를 정기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비눗물 사용)
- 전자 밸브의 작동유무는 파열사고와 직결되므로 수시로 점검한다.
◑ 육안 관찰 연소 상태 판단
공기비 | 화염의 색 | 연기색 |
공기비 부족의 연소 | 어두운 적색 | 흑색 |
공기비 적당 | 오렌지색 | 담백색 |
공기비 과대연소 | 백색 | 백색 |
◑ 보일러 정지시 순서
① 연료의 투입을 정지한다
② 공기의 투입을 정지한다
③ 급수를 하여 압력을 내리고 급수 밸브를 담는다
④ 증기 밸브를 닫고 드레인 밸브를 연다
⑤ 댐퍼를 닫는다
◑ 화학적 청소법
1) 산세관 : 염산 5~10%, 부식억제제(인히비터) 0.2~0.8%를 혼합하여 처리온도 60+-5도, 처리시간 4~6시간 정해 순환시켜 세정한다. 세정액으로는 무기산으로 유산, 설파민산 등이 사용되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히트록산, 옥살산 등이 사용된다. 산세관시에는 강의 부식을 촉진시키므로 중화방청제(탄산소다, 가성소다, 인산소다, 히드라진)를 사용 방청처리를 해야 한다.
◑ 산세척 처리 순서
전처리 → 수세 → 산액처리 → 수세 →중화, 방청처리
◑ 규산염, 황산염 등 경질 스케일의 경우 용해촉진제인 불화수소산(HF)을 사용한다.
◑ 알칼리성 약품의 종류
① 암모니아(NH₃) ②가성소다(NaOH) ③탄산소다(Na₂CO₃) ④인산소다(Na₃PO₄)
◑ 유기산의 종류
① 구연산 ②하트록산 ③옥살산
◑ 사용흡습제
생석회, 실리카겔, 염화칼슘, 활성 알루미나 등
3. 보일러 용수관리
◑보일러 급수로 인한 장해
① 스케일 생성
② 발생증기의 불순으로 습증기 발생
③ 비수현상
④ 농축으로 인한 순환불량
⑤ 가성취화현상 = 알카리 부식
⑥ 부식사고
◑ 5대 불순물과 장해
① 염류 : 황산염, 규산염, 탄산염 등 (스케일 발생의 주요 원인)
② 알칼리분 : 급수계통부식, 알칼리부식 등
③ 산분 : pH저하로 전면식
④ 유지분 : 포밍(거품), 프라이밍(비수현상), 과열 등
⑤ 가스분 : 산소, 이산화탄소, 질소 황화수소(점식 부식의 주요 원인)
◑ 스케일 생성방지법
① 급수처리를 철저히 할 것
② 적절한 청관제의 사용으로 스케일 생성 방지
③ 수질분석을 통한 급수의 한계값 유지
④ 슬러지 상태에서의 철저한 분출
◑보일러 관내 처리
① pH, 알칼리조정 : 고압 보일러의 경우 알칼리 조정제는 제3인산나트륨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등이 사용된다.
② 연화 : 경도성분을 불용성의 화합물인 슬러지화하여 스케일을 예방하는 처리제로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이 사용된다.
③ 탈산소제 : 탄닌, 아황산나트륨 등이 사용되며 고압 보일러의 경우 히드라진을 사용한다.
④ 슬러지 조정 : 처리제로 탄닌, 리그린, 녹말 등을 사용한다.
◑ 탈기법 : 용존산소 및 탄산가스를 제거하는 방법
◑ 기폭법 : 탄산가스체나 철, 망간 등을 제거하는 방법
◑ 현탁 고형물(불순물) 제거 : 자연침강법, 여과, 응집 ( 외우는 방법 : 자여응)
◑ 용해 고형물 제거 : 이온교환법, 증류법, 약제 첨가 (외우는 방법 : 이증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