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수방지관과 기수분리기 스트레이너

by 베풀고 나누는 풍요로운 삶 2023. 9. 26.
반응형

 

비수 방지관(anti priming pipe)

증기관에 수증기만 들어가게 하기 위한 장치, (

 

비수방지관
비수방지관

보일러에서 수면부에서 발생하는 현상

포밍 → 프라이밍(비수) → 캐리오버(기수공발) → 수격작용

 

 (1) 프라이밍 (priming, 비수(飛水))

주증기 밸브 급개시 (갑자기 압력 차에 의해서 수면이 요동치면서 움직임), 고수위시 수면으로부터 끊임없이 물방울이 비산하면서 수위를 불안정하게 하는 현상

 

(2) 포밍 (foaming : 물거품)

관수 중 용해 고형물(완전히 녹지 않은 고체 불순물), 유지류(기름 성분) 등의 불순물로 인한 거품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심해지면 프라이밍 상태로 변하게 된다.

 

(3) 기수공발 (carry over)

증기관 내로 물방울이 따라 들어가 운반되는 현상

◎ 기계적 캐리오버 : 작은 물방울(액적)이 증기와 함께 송출되어 지는 현상

◎ 선택적 캐리오버 : 증기 속에 용해되어 있던 실리카(무수규산) 성분이 증기와 함께 송출되어 지는 현상

 

■비수현상의 원인

  1. 고수위
  2. 관수농축 → 포밍 → 비수(프라이밍)
  3. 급격한 과열
  4. 고압에서 저압으로 의 변화
  5. 용존고형물, 유지분의 과다
  6. 주증기 밸브의 급개

■비수현상시 피해

  1. 수위의 오판
  2. 계기류의 통수공들의 차단
  3. 과열도 저하
  4. 수격작용(water hammer)
  5. 저수위사고

 

스트레이너(Strainer)

주요 밸브 및 부속장치 앞에 설치하여 관내 불순물을 제거하며 형상에 따라 Y형, U형, V형이 있다.

 

Y형 스트레이너
Y형 스트레이너

 

기수분리기(steam separdter)

동내부 또는 수관보일러의 상승관 내에 기수분리기를 설치하여 건증기(물과 수증기 구분)를 취출하여 관내부식이나 수격작용을 방지한다.

 

 

 

■기수분리기 종류

  1. 사이크론식(원심력 이용)
  2. 스크레버식(파도형의 장애판이용)
  3. 건조 스크린식(금속망이용)
  4. 배블식(방향전환이용)
  5. 다공판식

사이크론식 기수분리기
사이크론식 기수분리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