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소
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와 급격히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면서 산화하는 현상
연소의 3요소 (암기 : 가산점)
- 가연물
- 산소공급원 (산소·공기)
- 점화원
인화점과 발화점
인화점 : 점화원에 의해 연소되는 최저 온도 (~뭐뭐 인 -> 발화점에 인하여)
발화점 : 점화원 없이 열의 축적에 의해 연소가 시작되는 최저 온도
연료의 정의
공기의 존재하에서 쉽게 연소하여 그 연소열을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물질
연료의 기본 조건
- 공기 중에 쉽게 연소할 것
- 단위 중량당 발열량이 클 것
- 취급, 운반, 저장이 용이할 것
- 연소 시 회분 배출이 적을 것
- 불순물이 적을 것
- 구입이 쉽고 경제적일 것
- 공해의 요인이 적을 것
- 부식을 일으키는 성분이 적을 것
연료의 주성분
주성분 | C(탄소), H(수소), O(산소) |
가연성분(연소가 가능한 성분) | C(탄소), H(수소), S(황), O(x 산소는 포함 안 됨) |
불순물 | 황(S), 질소, 수분, 회분(A,재) |
연료의 종류
고체 연료(석탄) | 액체 연료(석유,중유) | 기체 연료(가스) | |
취급 | 쉽다 | ↔ | 어렵다 |
품질 | ↓ | ↑ | |
불순물 | 많다 | 적다 | |
연소효율 | ↓ | ↑ | |
위험성 | 낮다 | 높다 | |
시설비 | 적다 | 많다 |
탄화도
고정탄소의 양이 증가되면 휘발분 산소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연료비(고정탄소/휘발분)가 증가되어 발열량은 높아지나 착화 온도가 높아져 착화의 어려움이 있게 된다.
연료비
휘발분에 대한 고정탄소의 비를 말하며 클수록 발열량이 많아지지만 착화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연료비 = 고정탄소(%) / 휘발분(%) (석탄의 분류기준 참조)
* 탄소 비율이 높으면 연료비가 많이 든다.
석탄의 함유 성분과 연소에 미치는 영향
- 수분과 습분 : 착화성이 저하되고 열손실을 초래한다.
- 회분 : 발열량이나 연소효율이 저하된다.
- 휘발분 : 화염이 길어지고 검은 매연을 발생한다.
- 고정탄소 : 불꽃이 짧아지고 발열량이 증가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