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소와 연료

by 베풀고 나누는 풍요로운 삶 2023. 10. 17.
반응형

 

연소 

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와 급격히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면서 산화하는 현상

 

연소의 3요소 (암기 : 가산점)

  1. 가연물
  2. 산소공급원 (산소·공기)
  3. 점화원

인화점과 발화점

인화점 : 점화원에 의해 연소되는 최저 온도  (~뭐뭐 인 -> 발화점에 인하여)

발화점 :  점화원 없이 열의 축적에 의해 연소가 시작되는 최저 온도

 

연료의 정의 

공기의 존재하에서 쉽게 연소하여 그 연소열을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물질

 

연료의 기본 조건

  1. 공기 중에 쉽게 연소할 것
  2. 단위 중량당 발열량이 클 것
  3. 취급, 운반, 저장이 용이할 것
  4. 연소 시 회분 배출이 적을 것
  5. 불순물이 적을 것
  6. 구입이 쉽고 경제적일 것
  7. 공해의 요인이 적을 것
  8. 부식을 일으키는 성분이 적을 것

 

 

연료의 주성분                             

주성분 C(탄소), H(수소), O(산소)
가연성분(연소가 가능한 성분)  C(탄소), H(수소),  S(황),    O(x 산소는 포함 안 됨)
불순물 황(S), 질소, 수분, 회분(A,재)

 

 

연료의 종류

  고체 연료(석탄) 액체 연료(석유,중유) 기체 연료(가스)
취급 쉽다 어렵다
품질  
불순물 많다   적다
연소효율  
위험성 낮다   높다
시설비 적다   많다

 

탄화도

고정탄소의 양이 증가되면 휘발분 산소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연료비(고정탄소/휘발분)가 증가되어 발열량은 높아지나 착화 온도가 높아져 착화의 어려움이 있게 된다.

 

석탄의 탄화도 비교
석탄의 탄화도 비교

 

연료비

휘발분에 대한 고정탄소의 비를 말하며 클수록 발열량이 많아지지만 착화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연료비 = 고정탄소(%) / 휘발분(%)     (석탄의 분류기준 참조)

* 탄소 비율이 높으면 연료비가 많이 든다.

 

석탄의 함유 성분과 연소에 미치는 영향

  1. 수분과 습분 : 착화성이 저하되고 열손실을 초래한다.
  2. 회분 : 발열량이나 연소효율이 저하된다.
  3. 휘발분 : 화염이 길어지고 검은 매연을 발생한다.
  4. 고정탄소 : 불꽃이 짧아지고 발열량이 증가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