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5 슬럼프 극복, 느림의 미학 이번에는 팀 페리스와 아널드 슈워제네거 그리고 데릭 시버스의 이야기 중에서 확인하고 갈 부분을 정리하고자 한다. * 여담이지만 무엇을 함축시키고, 다시 풀어서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수학의 미분과 적분은 어려웠나? 1) 슬럼프가 온다면 부자가 되길 갈망하고 무엇을 위해서 이렇게 달려가고 있는지?, "성공" 이란 무엇인가? 고민하고 성인들의 말을 쫓아 행하고 독서를 하고, 또 하고 그런데 결과 없이 수레바퀴처럼 계속 돌기만 하면 지친다. 포기하고 싶고, 잠시 쉬고 싶은데, 그게 마음처럼 잘 되지 않는다. 이때 팀 페리스는 한 가지 규칙에 집중하라고 한다. 싶게 말해 작은 성취감을 맛보는 것이 주요한데, 오로지 한 가지에 집중할 수 있는 2~3시간을 확보해서 그 일에 몰입하고 성과를 내어서.. 2022. 8. 8. 타이탄의 도구들, 레드팀을 이끌어라(?) 레드팀 제목부터 생소하다. 레드팀의 사전적 의미는 조직 내 전략의 취약점을 발견해 공격하는 역할을 부여받은 팀을 말한다. 이번 글은 앞의 글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타이탄에서 배울 점을 알아본다. 이번 글의 타이탄은 마크 앤드리슨(Marc Andreessen) : URL, HTTP, 초기 HTML 표준을 만든 팀 버너스리 (Tim Berners-Lee) 같은 선구자들과 함께 현대 인터넷의 창시자로 꼽히는 인물. 읽고 느낀 중복되는 핵심은 남들보다 뛰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1) 자기 분야에서는 최고가 되어 남이 무시하지 못할 실력을 갖추는 것 2) 무엇이든 물건을 만드는 사람은 반드시 똑똑해야 한다는 것 을 강조했다. 즉, 자기 분야에 최고가 되어야 하며, 그렇게 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 (타이탄들 모두.. 2022. 8. 4. 타이탄의 도구들,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가장 성공한 사람들의 비밀 05_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하라 이 단락에서는 구글의 임원을 지냈던 크리스 사카의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배울 점을 풀어놓았다. 처음 받은 느낌은 역시 성공한 사람은 발상과 행동이 다르다는 것에 있다. 평범하지 않고 보통 사람들이 하는 일반적인 행동과는 차이과 많다. 이 단락에서 가장 핵심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겠다. 1) 본질적인 삶의 추구 = 오직 나만의 할 일 목록 당연한 것이지만 성공하려는 사람은 공격적이어야 한다. 공격적이란 표현이 우리나라에서는 좀 과격하게 느낄 수 있지만 주체적인 생각과 행동을 해야 한다는 뜻으로 받아 드려야 한다. 크리스는 "내가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고,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고, 진심으로 성장시키고 싶은 관계에 투자하고 싶었다." 그러.. 2022. 8. 3. 타이탄의 도구들, 가장 성공한 사람들의 비밀_아침의 시작 사람들은 누구나 훌륭한 멘토가 있기를 원한다. 그러나 그런 인기 있는 멘토를 직접 만나고 코칭 받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고 하여도 영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런 사람들이 적은 훌륭한 책을 멘토로 삼으면 되기 때문이다. 모든 것은 자기가 습(익힘) 해야 하는 법, 듣고 보는 것 만으로 자기 것이 되지 않는다. 「타이탄의 도구들」이란 책이 있다보니 이번에는 2권으로 나누어 새롭게 다시 나왔다. 이제 책 속으로 들어가서 배워 보는 시간을 갖자. 그런 다음 각자 익히고 연습하여 자기 것으로 만들면 되는 것이다. 많은 자기 계발서에서 나오는 공통 점이 있다. 바로 아침의 시작이다. 개인적으로는 좋은 아침을 위해서는 잠자리에 들기부터 설명이 나왔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만... 어쨌든 아침을 시작하는 의식으로 .. 2022. 8. 2.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