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

보일러 안전관리 1. 안전관리 개요 ◑안전관리 목적 ①인명의 존중 ②사회복지의 증진 ③생산성의 향상 ④경제성의 향상 ⑤안전사고 발생방지 ◑ 사고의 원인 (1) 직접원인 1) 불안전한 행동 (인적 원인) : 안전조치 불이행, 불안전한 상태의 방치 등 2) 불안전한 상태 (물적 원인) : 작업환경의 결함, 보호구 복장 등의 결함 등 (2) 간접원인 1) 기술적 원인 : 기계, 기구, 장비 등의 방호설비, 경계설비 등의 기술적 결함 2) 교육적 원인 : 무지, 경시, 몰이해, 훈련미숙, 나쁜 습관 등 3) 신체적 원인 : 각종 질병, 피로, 수면부족 등 4) 정신적 원인 : 태만, 반항, 불만, 초조, 긴장, 공포 등 5) 관리적 원인 : 책임감부족, 작업기준의 불명학, 근로의욕침체 등 ◑ 안전관리 일반 온도 : 안전활동에 .. 2023. 9. 15.
보일러 취급과 관리 1. 보일러 가동 전의 준비사항 ◑ 소다 보링 : 설치제작시 부착된 페인트, 유지, 녹 등을 제거하기 위해 동내부에 소다 계통의 약액을 주입하고 가압하여(0.3~0.5 [kg/cm2]) 2~3일간 끊여 반복 분출한다. ◑ 사용 약액 탄산소다(Na₂CO₃), 가성소다(NaOH), 제3인산소다(Na₃PO₄12H₂O) ◑ 보일러의 수위 확인 보일러의 수위는 수면계의 1/2 정도에 오도록 표준수위를 설정하고 그 이상의 고수위나 저수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조정한다. ◑ 프리퍼지 소화 후 급속냉각을 막기 위해 배기 댐퍼를 닫은 상태으므로 점화 전에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가스(미연소가스)를 배출해야 하는데 이를 프리퍼지라고 한다. 점화전 댐퍼를 열고 노내와 연도에 체류하고 있는 가연성가스를 송풍기로 취출 시키는 것 (.. 2023. 9. 15.
보일러 종류와 특징 시작하기 전에 보일러 관련 용어부터 공부하고 갑시다 * 보일러 관련 용어 동(drum, 드럼) : 원통형태의 통 관(tube, 튜브) : 파이프 노 - 물품을 가열하거나 옹해할 목적으로 일정한 공간을 둘러싸고 가열체를 장치한 것 ( 가열로, 융해로, 용광로 ) 연도 : 보일러에서 연소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가 연돌에 이르기까지의 통로. 연돌 : 굴뚝 전열면적 : 연소가스가 접하는 면 연관 : 연소가스가 지나가는 관 ( 연관 주변에는 물이 둘러싸고 있다 ) 수관 : 관속으로 물이 지나가는 관 (마름모꼴로 배열 : 연소가스와 전열면 접촉 양호) 안전저수위 : 사용 중 유지해야 할 최저 수위 ( 수면계의 최하부와 일치 ) 상용수위 : 사용 중 항상 유지해야 할 수위 (수면계의 1/2 지점) 수격작용(Weter .. 2023. 9. 14.
에너지관리 자격증이 필요한 이유 사람들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오랫동안 직업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직종을 찾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에너지 관련 자격증을 소지할 경우 오랫동안 정년퇴직 없이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에너지 관리 자격증이 필요한 이유 간단히 결론부터 정리하자면 건물이 크기가 다양화되고 대형화되면서 그 크기에 맞는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담당자를 꼭 선임하는 법적 제도가 있어 그 필요성이 부각되며, 가장 큰 장점은 정년퇴직 나이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메리트이다. 따라서 중대형 크기의 보일러와 냉동기, 그리고 가스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관련 자격증 에너지관리자, 공조냉방기사, 가스기능사를 함께 가지고 있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관련 시험 과목도 비슷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2023.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