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5 폐열 회수장치(여열장치) 1. 증기 과열기(super heater) 연소가스의 여열을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보일러 속에 발생한 포화증기를 과열증기로 증기의 온도를 높이는 가열장치 ◐과열기의 특징 고압보일러의 열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 증기의 과열온도는 높을수록 좋으나 재료의 내열성으로 인한 제한을 받는다.(약 400~600도) 연소실 내의 전열면적의 부족을 보충하고 과열증기 온도의 변동을 적게 한다. 가열장치의 열응력이 발생하고 과열 표면에 고온부식이 일어나기 쉽다. 가열 표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과열기의 종류 ① 열가스 흐름에 의한 분류 ( ★ 종류와 내용 구분해야 함 ) 1) 병류식 : 증기와 열가스의 흐름이 같은 방향 2) 향류식 : 증기와 열가스의 흐름이 반대 방향 3) 혼류식 : 병류식.. 2023. 9. 26. 비수방지관과 기수분리기 스트레이너 비수 방지관(anti priming pipe) 증기관에 수증기만 들어가게 하기 위한 장치, ( 보일러에서 수면부에서 발생하는 현상 포밍 → 프라이밍(비수) → 캐리오버(기수공발) → 수격작용 (1) 프라이밍 (priming, 비수(飛水)) 주증기 밸브 급개시 (갑자기 압력 차에 의해서 수면이 요동치면서 움직임), 고수위시 수면으로부터 끊임없이 물방울이 비산하면서 수위를 불안정하게 하는 현상 (2) 포밍 (foaming : 물거품) 관수 중 용해 고형물(완전히 녹지 않은 고체 불순물), 유지류(기름 성분) 등의 불순물로 인한 거품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심해지면 프라이밍 상태로 변하게 된다. (3) 기수공발 (carry over) 증기관 내로 물방울이 따라 들어가 운반되는 현상 ◎ 기계적 캐리오버 : 작은.. 2023. 9. 26. 방열기 (★시험에 잘 나오는 부분) 에너지관리 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 시험에 잘 나옴 방열기 (★시험에 엄청 잘 나옴) 실내에 설치하여 증기 또는 온수의 잠열, 현열을 이용 방산하는 열로 실내 공기를 덥게하는 설비 (1) 재질상 분류 ① 주철제 ②강제 ③Al(알루미늄)제 (2) 구조상 분류 ① 주(柱, 기둥주)형 방열기 (타입 구분 : Ⅱ(2열), Ⅲ(3열) 만 있음* 로마자 숫자로만 표기함) ② 세주(細柱, 가는 기둥)형 방열기 (타입 구분 : 3(or 3C, 5 or 5C *아라비아 숫자로만 표기, 2가지 타입만 있음) ③ 벽걸이형 방열기 ( W-H: 세로(종형) 타입, W-V:가로(횡형) 타입) ◐ 방열기 호칭법과 도면도시법 (★ 시험에 잘 나옴) 주형 : 종류 - 높이 × 쪽수 벽걸이 : 종류 - 형 × 쪽수 * 호칭법 : 5C.. 2023. 9. 22. 에너지 관리 기능사 시험에 나오는 계산 문제 시험에 잘 나오는 문제는 나중에 다시 정리하기 시험에 잘 나오는 유형 효율 마력 8435 상당증발량 539 저위발열량 : 고위발열량 (주어짐)-600(9H+W) (*9H: 수소분, W:물분) 방열면국 증발률 연료소모량 손실열량 온도 : C, F, K, R 변환 문제 2023. 9. 21.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